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거시 경제학] 13.필립스곡선 이론

by highY 2025. 6. 12.
728x90

필립스곡선 이론

  1. 최초의 필립스곡선
  • 기본식
    p = –a(u – uⁿ), a > 0
    (p: 인플레이션율, u: 실제 실업률, uⁿ: 자연실업률)
  • 해석
    • u < uⁿ → p > 0: 자연실업률보다 낮은 실업 → 인플레이션
    • u > uⁿ → p < 0: 자연실업률보다 높은 실업 → 디플레이션
    • u = uⁿ → p = 0: 인플레이션 안정
  1. 정책적 시사점
  • 실업과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상충 관계
  •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의 동시 달성은 불가능
  • 케인즈학파는 필립스곡선을 통해 재량적 총수요조절(fine tuning)의 근거로 활용
  1. 새로운 필립스곡선 등장 배경

스태그플레이션 등장 (1970년대)

  • 경기침체 + 인플레이션 동시 발생 → 기존 필립스곡선 붕괴
  • 원인:
    • 케인즈학파: 공급충격 (석유파동, 원자재가격 상승)
    • 통화주의/새고전학파: 예상인플레이션의 상향 조정

기대부가 필립스곡선 (통화주의자 주장)

  • 기대 반영식:
    p = pᵉ – a(u – uⁿ)
    (pᵉ: 예상인플레이션율)
  • 해석
    • p > pᵉ → u < uⁿ
    • p < pᵉ → u > uⁿ
    • p = pᵉ → u = uⁿ

단기 vs 장기 필립스곡선

구분 형태 설명
단기 필립스곡선 우하향 총수요 증가 → 실업↓, 인플레이션↑
장기 필립스곡선 수직선 u = uⁿ에서만 장기균형 가능, 총수요 확대는 오직 인플레이션 상승만 유발
 
  1. 요점 정리
  • 단기에는 실업과 인플레이션 간 트레이드오프 존재
  • 장기에는 예상인플레이션 조정으로 실업률에 영향 없음
  • 장기적으로 실업을 줄이기 위한 총수요 확대는 인플레이션만 초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