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정리4 [거시 경제학] 9.재정정책과 금융정책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재정정책① 재정의 재원조달 방식과 통화량조세로 조달 → 통화량 변화 없음국공채 발행 → 통화량 변화 없음 (민간에서 흡수)중앙은행 차입 → 본원통화 증가 → 금융정책 효과와 중첩 → 정책혼합 발생해외 차입 → 본원통화 증가 → 정책혼합 발생② 재정의 자동 안정화 기능 (고전학파)재량적 개입 없이 자동으로 경기를 안정시키는 장치예: 누진세, 실업급여, 사회보장제도, 최저임금, 가격지지정책 등케인즈의 재량적 정책과 대조됨③ 고전학파의 재정정책 평가구축효과: 정부지출 확대 → 이자율 상승 → 민간 소비·투자 감소감세도 같은 효과 발생④ 리카도의 등가정리 (새고전학파)국공채든 조세든 재원 조달 방식은 동일합리적 기대 하에서 경제주체는 미래 조세증가를 예상하고 현재 소비를 줄임결과적으로 정책 효.. 2025. 6. 8. [거시 경제학] 8.화폐수요이론 화폐수요이론화폐수요 결정요인에 대한 학파별 견해고전학파: 화폐수요는 주로 소득에 의해 결정되며 안정적이다. 목적은 교환의 매개수단 기능.케인즈학파: 화폐수요는 이자율에 의해 결정되며 불안정적이다. 목적은 가치저장 수단까지 포함.고전학파의 화폐수요이론: 화폐수량설교환방정식: MV = PY(V와 Y는 상수로 간주 → M과 P는 정비례 관계)화폐의 중립성 주장: 실물경제에 영향 없음피셔의 화폐수요함수: M = (1/V) × PY현금잔고방정식: Mᵈ = kPY → Mᵈ/P = kY마샬의 k: 소득 대비 현금보유 비율유통속도 V = 1/k화폐수요는 물가, 소득에 비례하며, 이자율과는 무관이자율과 V, k의 관계이자율 상승 → 현금보유기회비용 증가 → V↑, k↓케인즈학파: V와 k는 이자율에 민감통화주의자: 민감.. 2025. 6. 7. [거시 경제학] 2.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이론 고전학파의 국민소득 결정이론1. 기본 가정세이의 법칙 (Say’s Law)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함. 즉, 생산이 일어나면 자연스럽게 동일한 규모의 수요가 생김.명목변수의 신축성가격과 임금은 시장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동함. 노동시장에서 실업이 생기면 임금이 하락하고 고용이 증가해 자동 조정됨.완전정보와 완전예견모든 경제주체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알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예측도 정확함.노동시장 균형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감소 함수, 노동 공급은 실질임금의 증가 함수. 임금의 신축성으로 인해 노동시장은 항상 균형에 도달하며, 비자발적 실업은 존재하지 않음.→ 노동시장에서의 조정 메커니즘은 ‘명목임금’.2. 균형 국민소득의 결정노동시장이 항상 균형을 이루므로, *완전고용 수준의 고용량(L)**이 결정됨... 2025. 6. 2. [미시 경제학] 5.생산물시장이론 1. 완전경쟁시장(1) 특징다수의 소비자와 생산자가 존재개별 기업은 가격 수용자(price taker)상품의 동질성기업의 자유로운 진입과 탈퇴 → 장기적으로 정상이윤만 존재완전한 정보일물일가의 법칙 성립 → 개별 기업의 수요곡선은 수평선(2) 단기이윤극대화 조건가격 = 한계비용 → P = MC완전경쟁시장은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 달성 (P = MC 기준)단기 수입 구조: P = AR = MR단기 공급곡선손익분기점: P = AC생산중단점: P = AVC개별 기업은 P > AVC 구간에서만 생산단기 공급곡선은 MC곡선 중 P > AVC인 부분산업의 단기 공급곡선비용불변산업: 개별 기업 공급곡선 수평 합비용증가산업: 더 가파른 곡선(3) 장기기업의 자유로운 진입·퇴출 → 정상이윤 상태장기평균비용(LAC.. 2025. 6. 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