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민소득결정이론2

[거시 경제학] 3.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케인즈의 국민소득 결정이론1. 기본 가정유효수요이론: 수요가 공급을 창출함. 공급보다 총수요가 핵심.가격의 경직성: 명목임금과 가격은 하방경직적. 특히 임금은 노동조합, 계약 등으로 쉽게 내려가지 않음.불완전정보와 화폐환상: 노동자는 실질임금보다 명목임금 중심으로 판단함.잉여생산능력 존재: 실업과 유휴설비 존재 → 완전고용 전제 아님.2. 총수요와 총지출총수요 (AD): 계획된 지출 (Y^d = C^d + I^d + G^d)총지출 (AE): 실제 지출 = 실제 국민소득 (Y = C + I + G)3. 소비함수와 저축함수소비함수: C = a + bY₍D₎ = a + b(Y - T)a: 자율소비 (소득 없어도 소비)b: 한계소비성향(MPC)저축함수: S = -a + (1 - b)Y₍D₎성질MPC + MPS .. 2025. 6. 3.
[거시 경제학] 2.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이론 고전학파의 국민소득 결정이론1. 기본 가정세이의 법칙 (Say’s Law)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함. 즉, 생산이 일어나면 자연스럽게 동일한 규모의 수요가 생김.명목변수의 신축성가격과 임금은 시장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동함. 노동시장에서 실업이 생기면 임금이 하락하고 고용이 증가해 자동 조정됨.완전정보와 완전예견모든 경제주체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알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예측도 정확함.노동시장 균형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감소 함수, 노동 공급은 실질임금의 증가 함수. 임금의 신축성으로 인해 노동시장은 항상 균형에 도달하며, 비자발적 실업은 존재하지 않음.→ 노동시장에서의 조정 메커니즘은 ‘명목임금’.2. 균형 국민소득의 결정노동시장이 항상 균형을 이루므로, *완전고용 수준의 고용량(L)**이 결정됨... 2025. 6.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