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기업경영학] 6.계량의사 결정론

by highY 2025. 6. 24.
728x90
  1. 계량의사결정론 개요
  • 계량의사결정론은 두 개 이상의 대안 중에서 주어진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해(解)를 수리적 기법을 통해 도출하는 의사결정 방법이다.
  • 이론보다는 정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문제 해결에 있어 논리적 접근과 모형화를 강조한다.
  1. 계량의사결정의 과정
  • 계량적 의사결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① 문제의 인식 및 정의
    • 목적과 제약 조건을 검토하여 문제를 구조화
      ② 모형의 설정(Formulation)
    • 수학적 모델을 수립
      ③ 모형의 해 도출
    • Excel, 심플렉스(Simplex) 알고리즘 등의 도구를 활용
      ④ 목적에의 타당성 검토
    • 최적해가 실제 목적에 적합한지 평가
      ⑤ 모형의 수정 및 보완
    • 현실 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조정
      ⑥ 최적해 실행
    • 결정된 해를 현장에 적용하고 실행
  1. 의사결정 환경에 따른 분류
    (1) 확실한 상황하의 의사결정 (DMUC: Decision Making Under Certainty)
  • 미래의 결과가 완전히 예측 가능한 상황
  • 단일 해가 존재하며, 비교적 단순한 문제에서 활용

(2) 위험한 상황하의 의사결정 (DMUR: Decision Making Under Risk)

  • 각 결과의 발생 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상황
  • 대부분의 실제 의사결정 상황에 해당
  • 기대값 등을 기준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음

(3) 불확실한 상황하의 의사결정 (DMUU: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 결과는 예측되나, 각 결과의 확률은 알 수 없음
  • 확률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대안들을 비교
  • 미니맥스, 후르비츠 기준 등의 기법 사용

(4) 상충 상황하의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Under Conflict)

  • 상대방의 행동이나 결정이 자신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상황
  • 대표적으로 게임이론(Game Theory) 이 활용됨
  • 전략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