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거시 경제학] 16.경기변동론

by highY 2025. 6. 14.
728x90

(1) 경기변동지표
① 경기종합지수

  • 경기선행지수: 구인·구직비율, 재고순환지표, 소비자기대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건설수주액(실질), 수출입물가비율, 국제원자재가격지수(역계열), 코스피지수 등
  • 경기동행지수: 비농림어업 취업자 수,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소매판매액지수, 내수출하지수, 상용근로자 수 등
  • 경기후행지수: 생산자제품재고지수, 도시가계소비지출(실질), 소비재수입액(실질), 건설기성액(실질), 수입액(실질), 장단기 금리차, 회사채 유통수익률 등

②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공식: (증가를 예상한 업체 수 - 감소를 예상한 업체 수) ÷ 전체 응답 업체 수 × 100 + 100
  • BSI는 0~200의 값을 가지며, 100 초과 시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2)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균형상태가 변동하면서 경기변동이 발생한다는 균형경기변동이론을 주장한다.
  • 대표적으로 화폐적 균형경기변동이론(MBC), 실물적 균형경기변동이론(RBC)이 있다.

(3) 화폐적 균형경기변동이론(MBC)

  • 예상치 못한 화폐공급 충격으로 인해 경제주체들이 물가변동을 잘못 해석하면 일시적으로 국민소득(Y)이 자연국민소득(Y*)를 초과하며 경기호황이 발생한다.
  • 하지만 경제주체들이 합리적 기대를 형성하면 곧바로 자연국민소득수준으로 복귀하므로 지속적인 경기변동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

(4) 실물적 균형경기변동이론(RBC)

  • 공급 측의 실물적 충격(예: 기술혁신)이 총공급에 영향을 주어 경기변동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 실질이자율이나 실질임금의 상승은 노동의 기간 간 대체를 유도하고, 이러한 최적행위가 여러 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경기변동의 지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화폐는 장기·단기 모두에서 중립적이므로 금융정책은 무력하다.
  • 경기변동은 균형국민소득 자체가 변동하는 현상이다.

(5) 불균형경기변동이론: 새케인즈학파

  • 경기변동의 원인을 총수요 측면에서 찾는다.
  • 단기에는 가격의 경직성과 불완전경쟁 때문에 시장은 불균형 상태가 된다.
  • 총수요충격이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는 이유는 가격의 경직성 때문이다.
  • 이러한 경직성은 경제주체들의 최적화행위 결과로 설명되며, 따라서 합리적 기대를 도입하더라도 정책은 유효하다.
  • 경기변동을 균형수준의 이탈로 보며, 정부의 안정화정책은 정당하고 효과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