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전학파의 국민소득 결정이론
1. 기본 가정
- 세이의 법칙 (Say’s Law)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함. 즉, 생산이 일어나면 자연스럽게 동일한 규모의 수요가 생김. - 명목변수의 신축성
가격과 임금은 시장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동함. 노동시장에서 실업이 생기면 임금이 하락하고 고용이 증가해 자동 조정됨. - 완전정보와 완전예견
모든 경제주체는 필요한 정보를 모두 알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예측도 정확함. - 노동시장 균형
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감소 함수, 노동 공급은 실질임금의 증가 함수. 임금의 신축성으로 인해 노동시장은 항상 균형에 도달하며, 비자발적 실업은 존재하지 않음.
→ 노동시장에서의 조정 메커니즘은 ‘명목임금’.
2. 균형 국민소득의 결정
- 노동시장이 항상 균형을 이루므로, *완전고용 수준의 고용량(L)**이 결정됨.
- 이때 생산되는 *국민소득(Y)**이 균형국민소득이 됨. 따라서 국민소득은 생산요소의 공급량에 의해 결정됨.
- 물가수준(P)이 변하더라도 Y*는 변하지 않음 → 총공급곡선은 수직.
3. 시사점
- 공급중시 경제학 (Supply-side economics)
국민소득은 공급능력에 따라 결정되므로, 총수요는 이자율의 변동을 통해 공급 수준에 맞게 자동 조정됨.
→ 생산물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은 ‘이자율’. - 호황기에 적합한 이론
총수요보다 총공급이 더 중요한 국면에서 적합. 개발도상국, 대호황기 경제 등에 적용. - 정책적 시사점
국민소득을 늘리기 위해서는 총수요 확대보다 공급 능력 증대가 중요.
저축은 곧 투자로 이어지므로 경제 전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 → 저축은 ‘미덕’으로 간주.
핵심정리
- 공급은 수요를 창출함 (세이의 법칙)
- 노동시장과 생산물시장은 모두 자동조정됨
- 임금과 이자율의 신축성으로 균형 도달
- 국민소득은 완전고용 수준에서 결정
- 총공급곡선은 수직
- 정부의 개입 불필요 → 시장의 자율 조정 강조
반응형
'Study > 매경테스트•테샛'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 경제학] 4.케인즈의 승수이론 (2) | 2025.06.04 |
---|---|
[거시 경제학] 3.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1) | 2025.06.03 |
[거시 경제학] 1.국민소득 (0) | 2025.06.02 |
[미시 경제학] 7.공공경제이론과 정보경제학 (6) | 2025.06.02 |
[미시 경제학] 5.생산물시장이론 (0) | 2025.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