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시장실패
(1) 시장실패의 원인
- 불완전경쟁: P > MC → 비효율 발생
- 규모의 경제: 자연독점 가능
- 외부효과: 과소 또는 과다 생산(소비)
- 공공재: 비경합성, 비배제성
- 불완전정보: 도덕적 해이, 역선택
(2) 외부성 (Externalities)
개념
- 어떤 경제행위가 제3자에게 의도치 않은 영향(편익 또는 손해)을 주지만, 이에 대한 보상이나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 정부 개입을 통해 외부성을 내부화
외부성 정리표
외부성 | 편익과 비용의 관계 | 대책 | 영향 |
소비의 외부경제 | SMB = PMB + MEB | 보조금 | 과소소비 해결 |
소비의 외부비경제 | SMB = PMB - MEC | 조세 | 과다소비 억제 |
생산의 외부경제 | SMC = PMC - MEB | 보조금 | 과소생산 해결 |
생산의 외부비경제 | SMC = PMC + MEC | 조세 | 과다생산 억제 |
생산의 외부비경제와 조세 (피구세)
- SMC와 PMC 차이만큼 조세 부과 → 생산량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으로 조정
- 조세는 소비자·생산자 어느 쪽에 부과해도 결과는 동일
- 오염의 바람직한 수준이 0은 아님 (완전 제거 불필요)
협상적 해결: 코즈 정리 (Coase Theorem)
- 명확한 재산권이 설정되면, 정부 개입 없이도 자발적 협상을 통해 효율적 자원배분 가능
현실적 한계
-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분이 어려움
- 거래비용 존재
- 협상력 불균형 (기업 vs 시민)
- 피해 수준 측정의 어려움
(3) 공공재
공공재의 성격
- 비경합성: 한 명의 소비가 타인의 소비를 줄이지 않음
- 비배제성: 대가를 지불하지 않아도 소비 가능 → 무임승차 문제
공공재 분류표
구분 | 비배제성 | 배재성 |
비경합성 | 순수공공재 | 준공공재 |
경합성 | 공유자원 | 사적재 |
- 순수공공재 예시: 국방, 치안, 공중파 방송, 일기예보
- 준공공재 예시: 케이블TV, 유료도로, 놀이공원
- 공유지의 비극: 재산권 부재로 자원 남용
사적재와 공공재
특성 | 경합성, 배제성 | 비경합성, 비배제성 |
수요곡선 | 개별 수요의 수평합 | 개별 수요의 수직합 |
적정공급조건 | MB = MC | MB₁ + MB₂ = MC |
2. 정보경제학
(1) 역선택 (Adverse Selection)
예시: 중고차 시장
- 우량차 주인은 최소 500만 원 요구
- 불량차 주인은 100만 원도 OK
- 구매자는 정보 부족으로 평균 350만 원만 지급 의사
→ 결국 불량차만 시장에 남음 (레몬시장 문제)
역선택 사례
- 보험: 암 발생 확률 높은 사람만 가입
- 금융: 신용 낮은 사람만 대출
- 노동: 생산성 낮은 사람만 고용
대책
- 신호발송 (Signaling)
- 정보 가진 자가 자신의 특성 전달
- 예: 학력, 자격증, 품질보증 등
- 선별 (Screening)
- 정보 없는 자가 상대 특성 확인
- 예: 보험사 건강검진, 차등 보험요율
- 신용할당
- 이자율 대신 신용도 기준으로 대출
- 정부 정책
- 공적보험제도, 정보공개 의무화, 허위광고 규제
- 표준화와 평판 활용
- 효율성임금제도
- 시장보다 높은 임금 지급 → 우수인력 유치 및 유인
(2)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
보험시장
- 보험가입 후 행동 변화 → 사고 확률 증가
- 대책:
- 공동보험(co-insurance)
- 기초공제(deduction)
금융시장
- 고위험 투자로 자금 유용
- 대책:
- 감시, 담보, 연대보증
노동시장
- 고용 후 근무태만
- 대책:
- 성과급, 포상, 징계제도
- 효율성임금, 이익 공유
주인-대리인 문제 (Principal-Agent Problem)
- 주인이 권한 위임 시, 대리인이 사익 추구
- 예: 주주 vs CEO, 국민 vs 국회의원
- 대책:
- 유인설계, 스톡옵션, 보너스, 성과급
반응형
'Study > 매경테스트•테샛'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 경제학] 2.고전학파의 국민소득결정이론 (1) | 2025.06.02 |
---|---|
[거시 경제학] 1.국민소득 (0) | 2025.06.02 |
[미시 경제학] 5.생산물시장이론 (0) | 2025.06.01 |
[미시 경제학] 4.생산자이론 (1) | 2025.06.01 |
[미시 경제학] 3.소비자이론 (0) | 2025.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