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미시 경제학] 4.생산자이론

by highY 2025. 6. 1.
728x90

1. 생산함수이론

(1) 단기 생산함수

  • 총생산(TP=Q)한계생산(MP)
    MP가 0보다 크면 TP는 계속 증가하고, MP가 0보다 작으면 TP는 감소한다. MP가 0일 때 TP는 극대가 된다.
  • 평균생산(AP)한계생산(MP)
    • AP가 증가하는 구간: MP > AP
    • AP가 최대일 때: MP = AP
    • AP가 감소하는 구간: MP < AP
    • MP 증가 → AP는 증가
    • MP 감소 → AP는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음
    • AP 증가 → MP는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음
    • AP 감소 → MP는 반드시 감소

(2) 장기 생산함수와 생산자균형

  • 생산자균형 조건:
    노동과 자본의 한계생산의 비율(MRTS)이 요소가격 비율(w/r)과 일치해야 한다.
    → MP_L / w = MP_K / r
  • 균형으로의 조정 과정:
    • MP_L / w > MP_K / r → 노동 투입 증가, 자본 투입 감소 → MRTS 감소
    • MP_L / w < MP_K / r → 노동 투입 감소, 자본 투입 증가 → MRTS 증가
      → 결과적으로 MRTS = w/r에서 균형 도달

(3) 규모에 대한 보수와 규모의 경제

  • 규모의 경제 (increasing returns to scale):
    f(kL, kK) > k × f(L, K)
  • 규모 불변 (constant returns to scale):
    f(kL, kK) = k × f(L, K)
  • 규모의 비경제 (decreasing returns to scale):
    f(kL, kK) < k × f(L, K)

2. 비용함수이론

(1) 비용의 정의

  • 경제적 비용 = 회계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경제적 이윤 = 회계적 이윤 – 암묵적 비용

(2) 비용곡선 간 관계

  • 총비용(TC), 평균비용(AC), 한계비용(MC) 관계
    • AC 감소 구간: MC < AC
    • AC 최소점: MC = AC
    • AC 증가 구간: MC > AC
  • MC와 AC의 변화 방향
    • MC 감소 → AC 감소
    • MC 증가 → AC는 감소 또는 증가 가능
    • AC 감소 → MC는 감소 또는 증가 가능
    • AC 증가 → MC는 반드시 증가
  • 평균가변비용(AVC)와 MC 관계도 유사
    • AVC 감소 구간: MC < AVC
    • AVC 최소점: MC = AVC
    • AVC 증가 구간: MC > AVC

(3) 장기비용곡선의 특징

  • LTC는 여러 STC 곡선을 아래에서 감싸는 포락선
  • LAC도 여러 SAC 곡선을 아래서 감싸는 포락선이지만, SAC의 최저점을 단순히 연결한 곡선은 아니다.
  • SAC는 한계생산 체감 법칙에 의해 U자형, LAC는 규모에 대한 보수에 의해 U자형
  • LAC 최저점 = SAC 최저점, 이때 최적시설규모 도달
  • LMC는 SMC를 감싸는 포락선이 아님
  • STC와 LTC가 접하는 점에서는 SAC = LAC, SMC = LMC는 서로 교차

(4) 범위의 경제 (Economies of Scope)

  • 두 제품을 각기 생산할 때보다 한 기업이 동시에 생산할 때 비용이 더 낮아지는 현상
  • 규모의 경제와는 체계적인 관계가 없음

3. 기업의 이윤극대화

(1) 수입의 분석

  • 총수입(TR) = P × Q
  • 한계수입(MR) = d(TR)/dQ
  • 평균수입(AR) = TR/Q = P

(2) 이윤극대화 조건

  • 1차 조건: MR = MC
  • 2차 조건: MC의 기울기 > MR의 기울기

→ MR > MC → 생산량 늘리면 이윤 증가
→ MR < MC → 생산량 줄이면 이윤 증가

(3) 수입극대화 가설 (보몰의 이론)

  • 보몰(W. Baumol)은 현실의 기업이 이윤보다 수입극대화를 추구한다고 봄
    → 주인-대리인 문제, 도덕적 해이 문제 발생
  • 이윤극대화 조건: MR = MC
  • 수입극대화 조건: MR = 0
    → 수입극대화 생산량 > 이윤극대화 생산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