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희소성의 법칙과 경제 문제
- 희소성의 법칙 (Law of Scarcity)
사회 구성원의 욕구는 무한하지만,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욕망에 비해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를 ‘희소성’이라 하며, 이로 인해 경제 문제가 발생합니다. - 자유재와 경제재
자유재(free goods)는 희소하지 않아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학의 분석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 경제재(economic goods)는 희소성을 지니고 있어 분석의 대상이 됩니다.
(2) 기회비용과 합리적 선택
- 경제적 효율성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가장 큰 효과를 얻는 ‘최대효과의 원칙’과, 최소한의 비용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최소비용의 원칙’이 달성된 상태를 말합니다.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하게 되는 다른 선택지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기회비용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명시적 비용: 실제로 지출되는 비용
- 암묵적 비용: 보이지 않는 비용으로, 시간·노력·잠재적 수익 등
- 매몰비용 (Sunk Cost)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입니다. 회계적으로는 비용에 포함되지만, 의사결정 시에는 고려해서는 안 되는 비합리적 요소입니다.
예: 이미 예매한 영화표 때문에 보고 싶지 않은 영화를 끝까지 보는 것
(3) 생산가능곡선 (PPC: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 주어진 자원과 기술 수준에서 모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생산할 수 있는 두 재화의 최대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 이 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는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입니다.
- 곡선이 오목한 형태를 띠는 이유는 ‘기회비용 체증의 법칙’ 때문입니다. 하나의 재화 생산을 늘릴수록, 다른 재화를 포기해야 하는 비용이 점점 커지기 때문입니다.
(4) 유량변수와 저량변수
- 유량변수 (Flow Variable): 일정한 기간 동안 측정되는 변수 (예: 월급, 생산량)
- 저량변수 (Stock Variable): 특정 시점에서 측정되는 변수 (예: 자산, 인구수)
(5) 인과의 오류와 구성의 오류
- 인과의 오류 (Post hoc fallacy)
어떤 사건 A 다음에 사건 B가 발생했다고 해서, A가 B의 원인이라고 잘못 단정하는 오류
예: 어떤 법이 시행된 후 경제가 좋아졌다고 해서, 그 법이 경제를 좋게 만들었다고 단정하는 것 - 구성의 오류 (Fallacy of Composition)
일부에 해당하는 사실을 전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잘못 판단하는 오류
예: 한 사람이 절약하면 좋지만, 모두가 절약하면 오히려 소비가 줄어 경제가 침체되는 ‘절약의 역설’
반응형
'Study > 매경테스트•테샛'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시 경제학] 7.공공경제이론과 정보경제학 (6) | 2025.06.02 |
---|---|
[미시 경제학] 5.생산물시장이론 (0) | 2025.06.01 |
[미시 경제학] 4.생산자이론 (1) | 2025.06.01 |
[미시 경제학] 3.소비자이론 (0) | 2025.05.31 |
[미시 경제학] 2.수요와 공급의 이론 (1) | 2025.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