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거시 경제학] 12.인플레이션

by highY 2025. 6. 11.
728x90

인플레이션

  1. 소비자물가지수 (CPI)
  • 공식:
    CPI = (ΣP₁Q₀ / ΣP₀Q₀) × 100
    (기준연도 Q, 비교연도 P 기준: 라스파이레스 지수)
  • 특징
    • 인플레이션 측정의 대표 지표
    • 5년마다 기준연도 개편
    • 통계청이 매월 작성
    • 물가상승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1. GDP 디플레이터
  • 공식:
    GDP 디플레이터 = (명목GDP / 실질GDP) × 100
    = (ΣP₁Q₁ / ΣP₀Q₁) × 100
    (비교연도 Q 기준: 파셰 지수)
  • 특징
    • 한국은행이 분기마다 발표
    • 국내 생산품만 포함 → 수입품 반영 못함

물가지수 비교

항목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GDP디플레이터
수입품 포함 O X X
주택임대료 포함 O X X
신축주택가격 X O X
기존주택가격 X X X
 
  1. 인플레이션율 계산
  • 공식:
    인플레이션율 = (CPIₜ - CPIₜ₋₁) / CPIₜ₋₁ × 100
  1.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 원인
    • 통화공급 증가
      • 고전학파: 물가가 비례해 상승
      • 통화주의자: 통화량 증가가 근본 원인
    • 확대재정정책 (정부지출↑, 세금↓)
  • 대책
    • 안정적인 통화공급 유지
    • 프리드먼의 k% Rule (경제성장률에 맞춘 통화공급 증가율 설정)
  1. 공급견인 인플레이션 (비용인상형)
  • 원인
    • 석유파동,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공급 충격
    •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 대책
    • 케인즈: 소득정책(임금 및 가격 억제)
    • 장기적으로는 총공급 확대
    • 스태그플레이션 유발 가능 → 정책 딜레마
  1.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 예상된 인플레이션
    • 실질적 재분배 없음 (피셔가설: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예상인플레이션율)
    • 메뉴비용, 구두창비용 발생
    • 비생산적 투기 유발
  • 예상 못한 인플레이션
    • 부와 소득의 재분배 발생
      → 채무자 유리, 채권자 불리
      → 실물자산 보유자 이득, 금융자산 보유자 손실
    • 고정소득자, 연금생활자 피해
    • 생산과 고용은 단기 증가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 불확실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