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거시 경제학] 10.총수요-총공급모형

by highY 2025. 6. 9.
728x90

총수요-총공급 모형

  1. 물가 하락의 효과

이자율효과 (Interest Rate Effect)

  • 물가 하락 → 명목화폐수요 감소
  • 남는 자금으로 채권 매입·은행예금 증가
  • 채권가격 상승 → 이자율 하락
  • 이자율 하락 → 투자와 소비 증가 → 총수요 증가

실질자산효과 (Real Balance Effect, 피구효과)

  • 물가 하락 → 명목자산(현금, 국공채 등)의 실질가치 상승
  • 소비자의 실질구매력 상승 → 민간소비 증가 → 총수요 증가

경상수지효과 (Net Export Effect)

  • 물가 하락 → 국내 상품의 가격경쟁력 상승
  • 수출 증가, 수입 감소 → 순수출 증가 → 총수요 증가
  1. 총수요곡선(AD곡선)의 이동 요인

재정정책

  • 정부지출(G) 증가 또는 조세(T) 감면 → AD곡선 우측 이동

금융정책

  • 화폐공급(M) 증가 → 이자율 하락 → AD곡선 우측 이동
  1. 총공급곡선(AS곡선)

케인즈학파 및 통화주의학파

  • 단기: 적응적 기대 → 물가 예측에 오차 발생
    → 단기 총공급곡선(SAS)은 우상향
  • 장기: 물가 완전예측 → 장기 총공급곡선(LAS)은 자연국민소득 수준(Y*)에서 수직

새고전학파

  • 합리적 기대 채택 → 체계적인 예측오차 없음
  • 단기총공급곡선(SAS)도 자연국민소득 수준(Y*)에서 수직
  • 단, 정부의 예상치 못한 정책 시행 시 단기적으로 SAS 우상향 가능

총수요 관리정책의 효과 요약

정책 구분 국민소득 물가 이자율
재정정책 확대 증가 상승 상승
재정정책 긴축 감소 하락 하락
금융정책 확대 증가 상승 하락
금융정책 긴축 감소 하락 상승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