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매경테스트•테샛

[거시 경제학] 6.투자함수이론

by highY 2025. 6. 6.
728x90

투자함수이론

  1. 개요
  • 투자는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30%로 크지는 않지만, 경기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거시경제에서 중요한 변수다.
  • 도마(E. Domar)는 투자가 가지는 총수요 측면의 소득창출효과총공급 측면의 생산력 증대효과를 ‘투자의 이중성’이라 표현했다.
  1. 총자본량과 투자
  • 자본(K)은 시간이 지나면 감가상각(d)에 따라 줄어든다. 이를 보완하거나 초과하는 새로운 투자가 일어날 때 총자본량이 증가한다.
  • 자본량 변화식:
    Kₜ₊₁ = Kₜ + Iₜ - dKₜ
  1. 현재가치법 (고전학파)
  • 투자는 수익을 기대하고 이루어지며, **기대수익의 현재가치(PV)**가 **투자비용(C)**보다 크면 투자가 이루어진다.
  • 이를 순현재가치(NPV) 개념으로 표현할 수 있다:
    • NPV = PV - C
    • NPV > 0 → 투자함
    • NPV < 0 → 투자하지 않음
    • NPV = 0 → 투자 여부 없음(무차별)
  • 이자율이 상승하면 현재가치(PV)는 감소하므로 투자수요는 이자율의 감소함수이며, 고전학파는 투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이 매우 크다고 본다.
  1. 가속도원리
  • 고전적 가속도원리: 소비 증가 → 생산 증대 필요 → 자본 증가 필요 → 투자 증가
  • 근대적 가속도원리: 소득 증가 → 소비 증가 → 생산 확대 필요 → 유발투자 발생
  • 요컨대, 투자는 소득의 변화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1. 토빈의 q이론
  • 투자 여부는 **자산시장(주식시장)**과 실물시장(생산자본) 사이의 가치 차이로 결정된다는 이론.
  • q = 기업의 시장가치 / 대체자본의 재조달비용
    • q > 1 → 시장에서 평가된 기업가치가 실제 보유 자산보다 높음 → 투자 유인 있음
    • q < 1 → 투자 감소
    • q = 1 → 투자 불변
  • 이자율 하락 → 주가 상승 → q값 상승 → 투자 증가
  • 경기전망 호전 → 주가 상승 → q값 상승 → 투자 증가
  • 토빈의 q이론은 이자율보다는 경기전망이 투자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케인즈 계열의 시각에 가깝다.

요약 포인트

  • 고전학파: 이자율 중심 → PV 기반 투자결정
  • 케인즈 계열: 소득변화, 경기전망 중심 → 가속도원리, q이론

반응형

댓글